2년 전에 [STM32F103C8T6] 보드를 배워보려고 했었는데 시간이 없는 관계로 안 하고 있었다.
그때는 디버거랑 보드 다 합쳐서 만원 안 했던 거 같은데 요즘은 가격이 많이 올랐다.
https://fermium.tistory.com/1195
STM32F103C8T6로 LED 제어하려 했는데..
아마존에서 산 세트인데 겉에 적혀있는 정보와 내부 정보가 다르다.. 어쩐지 안된다 했다. 아래와 같이 연결을 하려고 이것저것 도전해 봤는데 잘 되지 않더라. 3V3 - 3V3 SWO - SWDIO SWCLK - SWCLK GND - GN
fermium.tistory.com
요즘은 어떻게 변했는가 살펴보니 맥북에서도 프로그래밍하기 좋도록 바뀌어 있다.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STM32CubeIDE 를 다운로드하여서 인스톨해주니까 펌웨어 업데이트랑 LED 제어랑 다 되는구나.
2년 전에는 맥북에서 프로그래밍 하기가 이렇게 간단하지 않아서 포기한 거 같은데 많이 발전했다.
https://www.st.com/en/development-tools/stm32cubeide.html
STM32CubeIDE - STMicroelectronics
STM32CubeIDE -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STM32, STM32CubeIDE-RPM, STM32CubeIDE-Lnx, STM32CubeIDE-Win, STM32CubeIDE-DEB, STM32CubeIDE-Mac, STMicroelectronics
www.st.com
아래와 같이 홈브류로 stlink 관련 인스톨을 해 주었다.
brew install stlink |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로..
https://github.com/stlink-org/stlink
GitHub - stlink-org/stlink: Open source STM32 MCU programming toolset
Open source STM32 MCU programming toolset. Contribute to stlink-org/stlink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정말 오래간만에 써 보는 거라 ST-LINK V2 펌웨어 업그레이드도 해 줬다.
STM32 F103 C8 T6 보드를 선택한 뒤에 Serial Wire 모드로 SysTick 설정을 해 주고,
아래와 같이 13번 핀의 설정을 [GPIO_Output]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Core/Src/main.c 에 아래의 두줄을 추가해 주면 된다.
HAL_GPIO_TogglePin(GPIOC, GPIO_PIN_13); HAL_Delay(500); |
추가할 장소는 main 함수 안의 while 문 안인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면 좋겠다.
이렇게 해주고 실행을 눌러주니까 LED 제어가 가능했다.
사용한 보드는 왠지 모르겠는데 색이 파란색이라서 Blue Pil로 불리는 보드이다.
배우면 배울수록 배워야 할 것이 많아지는 거 같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는 무리해서 여러 종류를 배울 필요 없이 취향에 맞는 보드를 선택하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