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1칩 기반 맥북을 이용하는 관계로,
Processing 3.X 에서는 죽어라 인식이 안되던데,
Processing 4.X 가 언제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
M1칩 맥북에서 안되던걸 수정했는거 같다.
아주 자연스럽게 된다.
https://fermium.tistory.com/1559
ESP32-S3로 MPU-6050 센서 사용하기
MPU-6050 센서를 ESP-WROOM-32로는 사용해 봤는데, Espressif ESP32-S3-DevKitC-1 보드로는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어떻게 사용하는가 자료를 찾아보는데, 인터넷에는 ESP32-S3으로 이용하는 샘플을 찾을 수가 없
fermium.tistory.com
이전에 설명했던 MPU-6050 센서의 데이터 값을
아래의 코드를 이용하여 그대로 출력 해 봤다.
물론, 이렇게 계측된 가속도 센서값을 txt 파일로 보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으로 폴더가 생성되면서 그 안에 데이터가 보존된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https://fermium.tistory.com/978
Arduino의 시리얼 신호를 Processing을 사용하여 txt 데이터로 만들기
공부를 하다가 배운것을 잊어먹지 않기 위해서 여기에 정리를 한다. 아두이노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 아두이노 IDE자체에서는 txt파일 등으로 만들어 내는 기
fermium.tistory.com
이걸로 센서 데이터 가시화에 도전 해 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