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드는 USB-C로 프로그래밍되는 보드로 32D 보드랑은 다른 신선한 느낌이 드네.
풀칼러 LED도 달려있고, 여러모로 실험적인 프로그래밍도 해 볼 수 있겠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이 보드를 600엔도 안 되는 가격에 팔다니,
아래와 같이 알리 익스프레스의 물건 가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보드를 5개 정도 사 보았다.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Boards manager에서 esp32 보드 버전을 업그레이드해야 되는데,
아두이노 1.8 버전에서는 2.0.X 버전이 검색이 안된다.
그래서 아두이노 2.0 버전에서 프로그래밍을 해야 되는 거 같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Additional boards manager URLs: 에 아래의 URL을 추가해 줬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espressif/arduino-esp32/gh-pages/package_esp32_index.json
추가를 해 주니까 아래와 같이 esp32 2.0.6을 인스톨할 수 있게 되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얼른 인스톨을 해 주자.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드디어 어찌어찌 사용 할 수 있게 설정은 완료했다.
일단 주변에 있는 LED 를 이용하여 LED 제어를 해 봤다.
21번 핀에 LED를 적당히 연결해 줬다.
![](https://blog.kakaocdn.net/dn/S90Pf/btrUs2Q5iVH/1hYpfHgUMHQowaukInHKu0/img.png)
ESP32가 제대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디바이스 명이 제대로 출력된다.
드디어 LED가 깜빡인다!!
<후기 추가>
ESP32-S3를 맥으로 개발하는 분들은 아래의 글도 참고 하시길 바란다.
https://fermium.tistory.com/1541
맥으로 ESP32-S3-DevKitC-1 개발 시의 주의점
ESP32-S3-DevKitC-1을 샀을 때 USB-C 커넥터가 두개가 있어서 어디에 연결하면 소스코드 업로드가 가능할는지 생각을 했었다. 처음에는 OTG 커넥터에 연결하면 업로드가 되긴 했으나, 시리얼 모니터에
fermiu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