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ynamixel 5

[ESP32-S3] DYNAMIXEL AX-12 모터 내부 정보 확인

Arduino로는 확인이 되었었는데, ESP32-S3에서는 모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가 실험을 했다.    다이나믹셀은 데이지 체인 방식의 통신을 채택 한 관계로, 선 하나로 데이터를 송 수신 다 해야 되기때문에, 중간에서 교통정리를 하는 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전부터 74HC241AP 칩으로 회로를 구성해 줬다.    ESP32-S3에서는 시리얼 통신 방식이 조금 다르긴 하나, 설정만 잘하면 이렇게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모터 내부의 정보도 확인 가능하다. ESP32-S3 로도 아두이노에서 확인한 것은 다 되는구나..

Hardware/ESP 2024.06.01

시리얼 변환 인터페이스 U2D2

다이나믹셀 관련 설정을 하는데, U2D2만 있으면 맥에서도 설정이 가능한 거 같길래 구매를 해 놨다. 그런데 이게 파워 허브 보드가 또 따로 있어서 그게 없으면 전원을 따로 연결해 주어야 한다. 진작에 알았으면 같이 샀을건데, 이미 배송이 완료된 상태라 할 수 없이 직접 만들어야지.. 얼추 동작 가능하도록 흉내내서 만들었다. 12V 외부 전원 연결해서 잘 움직인다. 맥용 DYNAMIXEL Wizard 2.0으로 모터를 움직여 본 결과를 아래의 동영상에 담아 둔다. 전원은 생각 하지 못했는데 필요한 사람이 우물 파야지 뭐..

다이나믹셀 AX-12 시리즈에 사용하는 MOLEX 3P 커넥터 구입

AX-12 가 MOLEX 커넥터를 쓰는데, 이게 일반적으로 파는 커넥터 세트에 들어있는 것이랑 모양이 달라서, 별거 아닌데도 비싼 가격에 판매되곤 한다. 참고로 일본의 로봇샵에서는 10개에 만 원대에 판매되고 있다. 다이나믹셀 컨트롤용 기판을 많이 만들다 보니 슬슬 재고도 떨어지고 해서 알리서 새로 구매했다. 혹시나 싶어서 다른 샵에서 각각 100개씩 구매했는데 제대로 도착했다. 가격은 전부 합하면 3만 원대 정도 된다. 약간 헐겁고 퀄리티는 약간 떨어지긴 하는데, 가격대 성능비로 사용 못할 정도는 아니니까 앞으로 대체품으로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인 거 같다. 참고로 내가 구입한 곳의 링크를 남긴다. (판매 샵과 나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1. 왼쪽 봉지: https://ko.aliexpress.com/..

로보티즈 다이나믹셀 쉴드 (DYNAMIXEL Shield, ROBOTIS)

평소에는 다이나믹셀 실드를 자작해서 쓰는데, 내가 만드는 것에도 한계가 있어서 로보티즈에서 발매된 쉴드를 한번 구매해 봤다. https://fermium.tistory.com/373 AX-12A를 아두이노(Arduino)로 제어하기 : 자작 아두이노 쉴드 여태껏 아두이노를 가지고 모터 제어만 한 관계로, 각도랑 속도같은 파라메터를 받을수가 없는 회로를 이용하였는데, 역시 제어하다보면 현제의 각도가 필요하더라. Direction_port를 제어하기 위 fermium.tistory.com 로보티스에서 발매하는 다이나믹셀을 자주 사용하는 편이라 이것저것 공부 중인데, 나 스스로가 사용법을 기억 할 수 있도록 여기에 정리한다. 우선 아래의 링크가 매뉴얼이다. https://emanual.robotis.com/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