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P32-S3 25

HLS-LFCD2 (LDS-01) 센서의 개발

ESP32를 이용하여서 라이더 개발을 하고 있다.    https://fermium.tistory.com/1492 HLS-LFCD2를 ESP32에서 사용이전 글과 같이 Arduino MEGA에서 센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https://fermium.tistory.com/1488 aliexpress 에서 HLS-LFCD2 를 사봤다. aliexpress를 검색하다가 라이더를 발견했었다. https://fermium.tistory.com/1fermium.tistory.com 계속해서 ESP32 특유의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계측 결과를 무선으로 컴퓨터로 전송한 뒤에, 전송받은 결괏값을 화면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밍을 해 보았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휴대폰으로도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U..

Hardware/LiDAR 2023.01.31

ESP32 espressif ESP32-WROOM-32D 로 AX-12A 제어

아두이노로 하던걸 ESP32로 해 봤는데 잘 된다. 앞으로 블루투스 모듈을 일부러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 거 같다. 실제 동작하는 모습은 아래와 같다. AX-12A는 12V의 전압이 필요한데, ESP32는 5V or 3.3V 가 필요한 관계로, 단순히 계산을 한다고 해도 12V - 5V = 7V 가 남는다. 전압강하를 레귤레이터를 쓰려고 하다가 7V 남는 전압을 다 열로 날려버려야 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만들기도 귀찮고 안전상의 문제도 있을 거 같아서, 아마존에서 하나에 3천원 짜리 강압 DC/DC 컨버터를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게 출력이 5A까지 나오니까, 모터를 많이 쓰는 경우에는 레귤레이터 쓰는 거 보단 훨씬 좋고, 냉각핀도 달려있어서 괜찮은거 같다. 앞으로는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활용을 ..

Hardware/ESP 2023.01.31

ESP32-S3-DevKitC-1 (ESP32-S3) 시리얼 모니터 출력에 대해

ESP32-S3를 사용 중인데, 시리얼 모니터 출력 결과가 계속 나오질 않아서 왜 그런지 고민 중이었다. 현재 ① 으로 소스코드를 업로드하는데, 업로드도 잘 되고, LED 제어도 잘 되는데 시리얼 모니터 출력만 안 나오더라. 혹시나 싶어서 아래와 같이 ① 로 설정해서 소스코드를 업로드 한 다음, 아래와 같이 ② 로 설정해서 시리얼 모니터를 출력해 보니까 결과가 잘 나왔다. 맥으로 프로그래밍을 해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 드라이버 설정이 안 되어있나 싶기도 하고, 뭐가 문제인지 확인 중이다. 위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내서 수정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https://fermium.tistory.com/1541 맥으로 ESP32-S3-DevKitC-1 개발 시의 주의점 ESP32..

Hardware/ESP 2023.01.24

Time of Flight (ToF) 센서 (VL53L0X)

당장에 실험과목의 커리큘럼을 새로 짜야 되는데, 모빌리티 관계의 수업이 어떤 게 좋을까 생각을 하다가, 라이더 쪽으로 공부할 수 있게 학습 자료를 준비해야겠다 싶어서 센서를 사모으고 있다. 이번에 아마존에서 구입한 VL53L0X 센서인데 두 개에 999엔이라 저렴하다. I2C 통신 지원이라 위와같이 회로를 만들었다. ESP32-DevKitC-32D에서의 I2C 핀 설정은 아래와 같다. 21 번핀 = SDA 22 번핀 = SCL 참고로 EPS에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이 Pololu 버전으로 인스톨했다. 인스톨을 해 주고 나서 아래와 같이 VL53L0X -> Continuous 샘플 그로그램을 실행시켰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보 레이트가 아두이노 기준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ESP32 통신 ..

Hardware/ESP 2023.01.24

ESP32-S3-DevKitC-1 (ESP32-S3) 로 심박센서 사용하기

이전의 블로그 글에서 심박 측정 센서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다. https://fermium.tistory.com/1400 MAX30102 (심박, 혈중산소 포화도 측정 센서 모듈) 아마존에서 산 센서가 인터넷 정보들을 참고로 배선해 보아도 LED에서 빛도 나지 않고 센서가 Arduino (아두이노)에서 인식이 되지 않았다. 왜 그런가 싶어서 자료를 찾아봤더니 I2C 통신을 할 때, fermium.tistory.com 일반적인 ESP32 모듈로는 라이브러리의 I2C 기본 설정 (21번핀:SDA, 22번핀:SCL) 대로 배선을 해 주면 되는데, ESP32-S3 은 I2C 전용 핀의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그렇다고 사용 못하는 것은 아니고, 자유롭게 SDA, SCL 설정을 할 수 있다고 설명이 되어있다. 어..

Hardware/ESP 2023.01.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