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구하자 121

마음가짐이 달라 지는 듯 하다.

내 이름으로 연구실 신설하고 나서 처음으로 학생들을 받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어색하기 짝이 없는 내 연구실에 들어와 주는 학생들이 있어서, 나를 믿어주고 들어온 고마움과 엄청난 책임감이 동시에 들어온다. 내가 열심히 살지 않으면 내 인생은 물론이고, 나를 믿고 들어온 학생들에게도 피해가 간다고 생각하니, 매사에 허투로 생활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이런 것이 책임감인가 싶네.. 내년에는 다른 연구비도 많이 타 낼 수 있도록 열심히 살아야겠다. 잘할 수 있겠지.. 걱정도 되는데.. 최소한 내가 학생으로서 겪어왔던 억울한 감정들은 안 느끼게 서포트해 줄 것이다.

가르친다는 것..

내 연구실이 생기고 본격적으로 학생을 받으면서, 불현듯 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가는 것이, 내가 평범해서는 내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에 나가서도 약간이나마 버프를 받을 수 있도록, 업적을 잘 쌓아갈 수 있도록, 나 스스로도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심을 잃지 않도록 공부 열심히 하자! 내가 그렇게도 싫었던, 그런 교육자는 되지 않도록 잊지 말고 열심히 살자!!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도 싫었던 감정보다 좋았던 기억이 더 떠오르도록 해 주고 싶네..

LINEST 함수 기울기만 표시되게 하기

LINEST 함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래의 링크 안의 예제를 실행해 보면 이렇게 나온다. 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linest-%ED%95%A8%EC%88%98-84d7d0d9-6e50-4101-977a-fa7abf772b6d LINEST 함수 이 문서에서는 Microsoft Excel의 LINEST 함수에 사용되는 수식 구문과 이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차트 작성 및 회귀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참고 항목 섹션에서 해당 링크를 support.microsoft.com 기울기뿐만 아니고 오른쪽에 y 절편이 자동으로 생겨난다. 이렇게 되면 오른쪽으로 자동 채우기를 할 경우 #SPILL! 오류가 일어난다. 따라서 기울기만 비교하기 위해..

차트식 수학

차트식 수학책을 충동구매했다. 옛날부터 수학을 잘 못했던 게 너무 서러운 나머지, 사전처럼 찾아보면서 공부해야 겠다고 생각하고 한 권 구매했다. 그리고, 한국이랑 일본이랑 수학용어가 다른게 좀 있어서 내가 학생들 가르치는 입장에서 기본적인 것은 알아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연구도 열심히 하면서, 꾸준이 연습하고 공부하는 것이 최선일 거 같다.

Modern Control Engineering

아마존에서 책을 샀는데 페덱스로 오는거 보니 일본에서 배송되는게 아닌거 같다. 로봇의 상호작용 분야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이제 기계제어에 대해서도 열심히 공부를 할 일이 생겼는데, 살면서 공부는 끝이 없는거 같다. 앞으로 세상이 이떻게 변화 할 지 모르니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에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포기하지 말고 열심히 하자!

구글 스칼라 (Google Scholar)

h-index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참고하시길.. https://ko.wikipedia.org/wiki/H_%EC%A7%80%EC%88%98 h 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 지수(h-index), 또는 허쉬 지표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지표이다. 어떤 연구자의 h 지수는 그 사람이 쓴 모든 논문 중 n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n개 이상일 때, 이 둘을 ko.wikipedia.org 요즘 들어서 h-index가 중요해진 거 같으니 관리를 잘하면서 생활해야겠다. 아직은 걸음마를 뗀 수준이지만, 언젠가는 나도 옛말 하면서 연구하고 있겠지.. 1년 만에 피인용수가 많이 증가한 거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름 없는 연구자로서, 먼 미래에는 많은 사람들에..

연구하자 2020.07.22
반응형